GCP와 GKE 기술용어 정리

PUB/SUB

  • GPC용 카프카(Kafka)라고 보면 됩니다. MS(MicroServices)기반의 서비스 플랫폼 환경에서 운영메시지 및 데이터를 활용하기 위해서는 Kafka와 같은 구독기반 시스템이 필요할 때가 있습니다.
  • 제가 구축했던 서비스에서 사용된 데이터는 2가지 특징이 있었는데요.
    • 첫째 대용량 데이터가 있었어요. AI 모델링을 위한 학습데이터 였죠. 양이 많을 수 밖에 없습니다.
    • 둘째 다방면에서 사용되었습니다. 음성데이터를 텍스트 데이터로 그대로 옮긴 후에 단어에 특정 라벨링을 해서 학습서버에 보내기도하지만, 그 라벨링이 얼마나 사용되었는지 카운팅해주는 통계서버에도 데이터를 보내야 하는 경우가 있었죠.

Cloud Speech-to-text

  • 음성을 텍스트로 변환해주는 서비스 입니다.
  • 취급하는 음성데이터의 단위가 짧은(15초단위로 과금) 방식과, 긴 파일을 한꺼번에 변환해주는 방식이 있습니다.
  • 부가기능중에 화자분리가 있는데, 한국어는 지원을 안해주는 문제가 있었어요.
  • 제가 취급했던 음성 데이터는 채널이 분리되서 녹음되는 케이스라 굳이 화자분리를 할 필요는 없었지만, 긴 파일을 한꺼번에 변환해주는 방식보다는 짧은 파일을 변환해주는 방식이 비용이 덜 나가더라구요. 그래서 채널별로 15초 단위로 잘라서 파일을 보내는 루틴을 개발해야 했습니다.

Dialogflow

  • 대화형 인터페이스 서비스 입니다. 챗봇 같은거라고 생각하면 편하지만, 조금더 확장성이 있습니다.
  • 어떻게 보면 챗봇 + 설치형 웹서비스라고 보는게 맞을수도 있겠네요.
  • 이 서비스를 이용해서 모호한 표현이나 잘못된 표현이 들어간 주소를 말해도 정확한 우편번호를 찾아주는 서비스를 만들어 보려고 했는데 생각보다 쉽지 않았던 기억이 있습니다.
    • 예를들어 “서울 중구 세종대로 110”으로 말해야 할 것을 “서울”을 생략하고 말한다거나, “세종대로”를 “세종로”로 한다거나 했을 때도 정확한 위치를 파악해서 우편번호를 찾아주는 서비스 말이죠.
    • 말로 표현할 때는 저렇게 생략되거나 중간중간 잘못된 표현을 사용할 확률이 높기 때문이죠, 그런데 구현이 쉽지 않더라구요.

Cloud DNS

  • Compute Engine이나 Kubernetes Engine에 설치된 가상머신이나 서비스IP를 연결할 수 있습니다. 일반적인 웹호스팅 업체에서 제공하는 기능에 추가적으로 G메일이나 G-Suite같은 기능도 연결해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.
  • HTTPS를 이용할 때 인증서 문제가 있는데요, 구글에서 관리해주는 방식이 있고 직접 만든 인증서를 사용하는 방식이 있습니다. 저 같은 경우엔 Lets Encrypts를 이용해서 3개월에 한번씩 갱신해주는 인증서도 써봤고, 돈 주고 산 인증서도 써봤는데 이럴때 후자의 방식을 사용합니다.

Cloud Storage

  • AWS의 S3에 대응되는 서비스라고 보시면 됩니다.
  • 써드파티 사용자권한에 따라서 접근권한을 달리하는 서비스를 구상중이었는데, 퇴사하면서 개발하지 못한 경험이 있네요.

Persistent Disk

  • Compute Engine이나 Kubernetes Engine에서 사용하는 가상하드디스크라고 생각하면 됩니다.
  • SSD를 이용하는게 있고 일반 HDD를 이용하는게 있는데 당연히 SSD 이용하면 비싸겠죠.
  • 백업과 관련하여 신경쓸 부분들이 몇가지 있습니다. 수백기가 정도의 데이터도 상당히 빠르게 백업합니다만, 그 순간에 살짝 느려지는 현상이 있더군요. 그래서 백업을 주로 서비스타임이 아닌 새벽시간에 돌아가도록 해놓았지만, 서비스 업그레이드를 하거나 뭔가 이슈가 발생할 수 있는 상황에서 민감하게 백업을 할 수 있어야 할 것 입니다. 복원하는 과정도 마찬가지죠. 이럴때 분초를 다투는 사투가 벌어질 수 있기 때문에, 미리미리 연습해두는 것도 좋습니다.

Cloud IAM

  • 계정별로 각종 GCP 서비스에 어떻게 접근하게 할 것인지 제어합니다.
  • 예를들어 Cloud Storage에서는 업로드 권한을 주지만 Compute Engine Console에는 접근을 못하게 한다던가 하는 행위를 정의할 수 있는거죠.

Compute Engine

  • 가상서버라고 생각하면 됩니다. 사용하는 환경(MEMORY, CPU, GPU, TPU)에 따라서 가격이 천차만별입니다. 약정하면 더 저렴하게 쓸 수 있구요.

Kubernetes Engeine

  • 위에서 소개한 가상서버 여러개를 묶어서 클러스터를 만듭니다. 그리고 그것들의 자원을 논리적으로 분할하여 여러개의 MS를 넣다/뺐다 하면서 사용합니다.
  • 이 서비스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세부기능과 이슈들을 경험해보는 것이 좋습니다. 그래야 실전에서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이죠. 키워드로 정리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.
    • Pod를 구성하는 방법 : 스케일 아웃 전략 정의하기, 서비스 정상구동확인 및 재부팅 방식 정의하기, 가상화 이미지 연동시키기(like Docker Image)
    • Persistent Disk를 연결하기
    • 외부와의 연결 : Pod 하나에 사설 IP를 바로 연결하는 방법도 있고, ENVOY나 NGINX등을 이용해서 로드밸런싱 하는 방법도 있습니다.

Cloud Function

  • 서버리스 컴퓨팅 입니다. GCP의 람다 같은거라고 생각하면 됩니다.
  • 제가 사용해본 케이스는 아래와 같습니다.
    • VueJS로 만든 웹프런트 저작도구가 있었습니다. 여기서 데이터가 만들어지면 Go언어 기번의 백엔드 서버로 넘어가는데요, 프런트에서 발생한 오류를 수집하고자 할 때 Cloud Function을 이용했습니다.
    • 처음에는 자체적으로 Fluentd 백엔드 서버를 구성해서 거기로 로그를 수집하려고 했지만, 시간을 아껴야만 했거든요.
    • 그래서 Cloud Function에서 데이터를 받아서 바로 Cloud Logging 서비스로 저장하는 간단한 파이썬 코드를 짜서 로그를 수집했었습니다.
Share: Twitter Facebook
김민석's Picture

About 김민석

항상 공부가 부족한 개발자, 항상 시간이 부족한 딸바보, 항상 체력이 부족한 부족한남편, 그리고 고양이 집사

JungNangGu, Seoul, Korea Rep https://reddol18.pe.kr

Comments