라즈베리파이 피코를 아두이노 와이파이 모듈 처럼 사용하기

미세먼지 측정하기

  • 저희집 고양이 호박이 화장실 모래의 미세먼지를 측정한 적이 있습니다.
  • 결과가 너무 충격적이어서 뚜껑없는 개방형 화장실로 바꿔줬었지요.
  • 그런데 겨울에 환기를 적게 하다보니, 모래 먼지가 방에 퍼져서 목이 너무 아픈거에요.
  • 그래서 먼지가 덜 나온다는 카사바 모래로 화장실 모래를 바꿔줬습니다.
  • 바꾼 모래도 먼지를 측정해 봐야겠죠?

측정 결과를 무선통신으로 보낼 수 없을까?

  • 이전에는 측정 결과를 USB 라인을 통해서 보냈습니다.
  • 그러다보니까 측정할 수 있는 공간에 한계가 생기더군요.
  • 그래서 이번에는 와이파이로 통신할 수 있는 라즈베리파이 피코에 먼지센서를 연결해 보려고 했어요.
  • 그런데 안타깝게도 3.3V 기반 ADC를 사용하는 피코에서는 값을 얻기가 어렵더군요.
  • 그래서 아두이노를 사용하되, 라즈베리파이 피코를 와이파이 모듈처럼 써서 측정값을 보내봤습니다.
    • 회로연결
  • 방법은 간단합니다, 아두이노의 시리얼핀(Tx,Rx)를 라즈베리파이 피코의 시리얼핀에 붙였어요.
  • 그런 다음 피코에서는 받아지는 값을 그대로 mqtt를 이용해서 서버로 보내기만 하도록 프로그래밍 했습니다.
광고를 클릭해주시면 블로그운영에 큰 힘이 됩니다.

보조배터리가 꺼지는 문제 해결

  • 그런데 보조배터리에 아두이노와 피코를 각각 연결하니까 1분 정도 있다가 전원이 꺼져버리는 문제가 발생하더군요.
  • 아무래도 보조배터리에 내장된 미세전류 차단 기준에 걸린것 같았습니다. 대략 60mA ~ 80mA가 그 기준값인 듯 한데요…
  • 아두이노도 피코도 따로사용할 때는 저 값보다 낮은 전류를 사용합니다.
  • 그런데 보조배터리에 있는 2개의 USB 단자에서 동시에 사용하는 전류량의 합을 기준으로 차단하는게 아니라, 둘 중에 최대값을 기준으로 차단하는 것 같아요.
  • 이로인해서 어쩔수 없이 USB 허브를 하나 투입했습니다. 이러니까 하나의 USB 단자로 약 80mA ~ 100mA를 사용하게 됩니다.
    • USB허브
  • 이제는 미세 전류 차단으로 인해 전원이 꺼지지 않고 꾸준히 동작하네요.

측정결과

  • 측정 결과는 PC에서 아래와 같이 받아보게 되었구요.
    • 결과
  • 무선으로 전송되니까 여기저기 옮겨다니면서 측정할 수 있게 되어서 좋네요.
  • 관련 에피소드는 아래 영상에서 시청할 수 있습니다~
Share: Twitter Facebook
김민석's Picture

About 김민석

항상 공부가 부족한 개발자, 항상 시간이 부족한 딸바보, 항상 체력이 부족한 부족한남편, 그리고 고양이 집사

JungNangGu, Seoul, Korea Rep https://reddol18.pe.kr

Comments